본문 바로가기
정보

퇴사 후 건강보험 임의 계속 가입 제도 정리!

by 이뜬이 2021. 8. 27.
반응형

 

안녕하세요 이뜬이 입니다.

 

오늘은 퇴사 후 국민연금 납부 유예 제도에 이어

 

건강보험 임의 계속 가입 제도에 대해 정리해 볼게요!

 

퇴사 하니까 전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었던 것들이 많네요.

 

 

 

건강보험료는 직장을 다닐 때 직장에서 50% 내 월급에서 50%

 

이렇게 나누어 납부를 하게 됩니다.

 

하지만, 퇴사 후에는 지역보험자로 등재되어

 

본인이 100% 부담해야 하는데요!

 

그 금액이 부담스럽다면, 전 직장에서 내던 금액을 36개월(3년)간 유지 할 수 있습니다.

 

그게 바로 건강보험 임의 계속 가입 제도인데요!

 

하지만 건강보험 임의 계속 가입제도에도 조건이 있습니다.

 

1. 18개월 동안 직장인 가입자로 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어야 하고

최소 12개월(1년)이상 자격을 유지한 사람이여야 가능합니다.

 

즉 18개월 동안 직장인으로 신분으로 보험료 납부를 하고 있어야 한다는거네요.

 

2. 지역가입자가 된 후 지역 보험료 납부기한에서 2개월 지나기 전에 신청을 해야합니다.

 

 

그리고 지역 가입 보험료보다 직장인으로 내던 보험료가 낮은 경우는 신청이 안된다고 하는데!

 

당연히 지역가입자 보험료가 낮으면 임의계속 가입을 할 필요가 없겠죠??

 

더 비싸게 보험료 납부 할 필요가 없잖아요!

 

 

자 그럼 퇴사 후 건강보험 임의 계속 가입 제도 가입은 어떻게 하느냐!

 

밑에 사이트에서 안내 참고하시고

https://www.nhis.or.kr/nhis/policy/wbhada05100m01.do

 

임의계속가입자 가입안내 < 지역가입자 < 자격취득/가입 < 자격 < 국민건강보험 < 정책센터 | 국민

임의계속가입자 가입안내 관련법령 국민건강보험법 제110조, 동법 시행령 77조, 동법 시행규칙 제62조, 제63조 임의계속가입 제도 취지 실업자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자 임의계속가입자

www.nhis.or.kr

 

제일 간단한 방법은 1577-1000번으로 전화를 해서

 

기타상담으로 상담원 연결 후 임의계속 가입자 가입 안내를 부탁드리면 됩니다.

 

다른 방법들은 신청서 작성을 해야 하는데

 

전화로 하면 바로 된다고 하네요.

 

저는 직장 다닐 때 내던 보험료가 12만원 정도 되었는데,

 

지역가입자로 보험료가 3만원대라

 

가입을 안하는게 더 보험료가 싸더라고요.

 

그래서 가입을 안했습니다.

 

어찌됫든 퇴사 후 수입도 없는데 최대한 지출을 줄이는게 좋겠죠!

 

퇴사 후 직장인 건강보험료보다 지역가입자 보험료가 비싸면

 

건강보험 임의계속 가입제도로 지출을 줄일 수 있다!

 

아는게 곧 돈이 되는 세상에서 알뜰 살뜰 챙기자고요!

 

 

이번 포스팅은 퇴사 후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
 

 

 

퇴사 후 국민연금 납부유예 제도가 궁금하시면 

 

밑에 글 참고해주세요!

https://ethany.tistory.com/3

 

퇴사 후 국민연금 납부 유예 신청하기!

안녕하세요 이뜬이 입니다. 저는 올해 7월 6일부터 3년 4개월간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었습니다. 퇴사 후에 신경 써야할 것들이 많네요. 코로나로 인해서 실직하신분들도 많으실텐데 직장 다닐 때

ethany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